![](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4VtKg/btr0Gb9AbMB/ADOtne4SkjKvDlL676FkJk/img.png)
어쩌다보니 PC를 1년만에 포맷하게 되었고 내 bitwarden이 동작하고 있지 않다는건 이번에 처음 알았다. 그간에 신규로 가입한 사이트가 없기도했고 2세가 태어나면서 컴퓨터 시간이 많지 않았기에 변화를 알아차리지 못했던것도 있다만.... 1년하고도 5개월이상 이전에 setup했던 system에 문제가 생기면 어디서부터 진행해야할지 알 수가 없다. 무튼 당장 모든 패스워드를 머릿속에서 지운지 1년이 넘어간시점에서 이걸 포기하고 다른일을 하려하니 모든것들이 걸리게된다., 일단은 이번계기로 여러 사이트의 패스워드를 바꾸기 시작했다.... 본의아니게 보안관리를 하게 된거다.. 무튼 거두절미하고 chrome plugin으로 사용중이던 bitwarden이 업데이트되면서 서버에서 사용중이던 bitwarden이랑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csDGe/btqEv7gaGLa/EdR4nSUNq13E2ngrc0Q1b0/img.png)
[주의] 본작업은 데이터 손실은 없으나 작업상 부주의로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가 소실 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블로거와 무관합니다. 작업도중 발생하는 이슈는 모두 작업자에 있으며 아래의 Process를 진행하면서 발생한 이슈에 대해 본 블로거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백업을 통해 데이터 손실을 최대한 예방하며, 데이터 복구와 아래 프로세스 진행에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작업자 분들께서 충분히 위험성을 인지하시고 작업을 진행 부탁드립니다.! 어느날 패키지센터에서 아래와 같이 메시지가 표시되고 정상동작하지 않음을 확인했다. XPENOLOGY 패키지 센터 연결에 실패했습니다. 네트워크 및 시간설정을 확인하십시오. 시간을 확인해보란말에 시간을 확인하러 갔다. 제어판 -> 지역옵션 -> 시간설정 당연히 이상은 없고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pV0y3/btqDIQ0kPMh/3q95RZDZIFEvfsSjsm3n0K/img.png)
지난 금요일 저녁, 부부의 세계가 끝나고 정전이 발생하면서 우리 지역구내 동전체가 정전이 되는 사태가 발생한적이 있다. 당연히 집에서 운영중이던 microserver가 죽어버렸고, 내부에 가상으로 돌던 xpenology가 떨어져버렸다. 재 접속한 DSM은 이전처럼 볼륨 충돌이 표시되고 있었고 별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도 그럴것이 늘상 있었던 일이고 대부분의 경우 DSM의 특정 DISK가 충돌이 된 경우고 이경우 해당 디스크 복구를 통해 복구가 가능했었다. 이때까지는 그랬다. 그런데 이번에 충돌은 Volume 자체가 충돌이 되어 복구기능도 모두 비활성화 되어 있어 어떤 액션도 할 수 없었다. 일단 이글을 검색해 들어오는 분들을 위해 증상을 나열 해 놓을테니 자신의 증상과 동일하다면 한번 시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vSmbc/btqBBUQT9Om/q89H2PbrYWgdAdcToV52O0/img.png)
사실 iptime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iptime에서 제공하는 무료 ddns를 사용하면 되었었다. XXXX.iptime.org 형태의 ddns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Archer C7 1750에는 무료 DDNS가 제공되지 않아 별도의 무료 DDNS를 찾아야했었다. comexe.cn은 중국 채널인것 같아 별도로 검토한적이 없었고 Dyndns와 No-IP 중에 검토를 하였으며 Dyndns가 당시 추천을 많이 하던 무료 DDNS 서비스였는데 마침 당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던걸로 기억나고 그래서 선택권이 무료였던 no-ip 서비스 밖에 없었던걸로 기억난다. no-ip는 무료로 3개의 주소를 제공해주고 있다. 등록하고 계속 그냥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아니고 한달에 한번씩 update를 해줘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scto/btqAuL96u9g/5y2htPbuJZDxTMGUqor8f0/img.png)
Docker 보단 가상화에 더 익숙해 VM이던 XEN을 찾곤했었고 실제로 ESXi에 간단한 서비스를 하면서도 굳이 ESXi에 시스템을 얹어 사용하고 테스트하고를 반복하곤 했다. 다들 DOCKER가 신세계임을 이야기했는데 별로 남의 이야기 같았고, 매번 재 실행하면서 데이터는 어떻게 쌓고 어떻게 관리하며, 설정하나 변경하면 Halt되는 시스템등을 보면서 갑갑함을 느꼈던것 같다. 그런데 헤놀로지(xpenology)에 담겨 있던 docker를 써보자 싶었고 꾸역꾸역 쓰다보니... 물론 xpenology 한정이겠지만 어느정도 도커의 환경설정이라던가 백업구조라던가 하는것들을 알게 되었고 나름 리소스를 좀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것 같다... 이것저것 솔루션 테스트 하느라 켜놓고 간단히 사용하고 있는데 다 ..
ZFS파일시스템이 거의 파일시스템계의 선악과로 불리며 BSD사용자들의 찬양을 들으면서도 나는 쓸일이 없다 관련이 없다는 생각을 해오며 무시하던중에 궁금증이 생겨 설치하고 사용해보았아... 음... 얼마전 개인 PC의 메모리를 늘렸는데 그 이유는 순전히 ZFS를 좀더 원할히 사용해보고싶단 생각에 늘리게 되었다. 마치 게임을 하고픈 사람들이 좀더 부드러운 게임화면을 보기위해 투자하듯 좀더 나은 성능을 눈으로 확인해보고 싶었기에... 메모리를 더 추가해 볼정도로 아주 매력적인 녀석은 확실했다. 좋았다. 몇가지 대표적 장점들로는 파일시스템의 스냅샷 기능이다. 그냥 스냅샷기능 하나만으로 zfs를 모두 설명한다고 해도 무관할 정도로 매우 대단하다. 그외에 raid pool구성이 가능하단점이 있다. raid 0,1,..
특정 PCI를 패스스루 한뒤 원복되지 않을때 시스템을 복구해 보자. 일반적인 경우 PCI중에 NIC카드라던가 기타 시스템운영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파트라면 그나마 덜 크리티컬 할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혹시 레이드카드를 무슨생각인지 패스스루를 해본적이 있는가?...( 네 저는 해보았습니다. 새벽2시쯤이었나 3시쯤이었나 너무 졸린데 NIC카드를 패스스루 할 생각으로 아무생각없이 클릭 후 패스스루 전환 -> 재기동 ) 상태확인을 하는데 스토리지가 0으로 SR이 보이지 않았다. 처음엔 너무 졸린가 싶었다가 순식간에 현실 파악 하고, 레이드카드를 패스스루 해버렸네?! 뭐 다시 원복하면 되지. 싶어서 다시 패스스루 버튼을 누르고 재기동... 음?!원복이 되지 않는다. 이미 잠은 다 깨고 맨탈이란 맨탈은 탈탈 나가고..
현재 몇번의 포스팅을 통해 운영 인프라를 구성했고 정상적인 서비스를 하기에 앞서 몇가지 서비스 테스트를 하던도중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우선 첫번째로 레이드된 디스크정보를 ESXi에서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부분은 매우 큰 문제로 현재로썬 이부분이 조치가 안될경우 ESXi의 사용을 포기하고 네이티브 시스템으로 가야하는 상황이 생길지도 모르겠습니다. 몇가지 대응책으론 하드디스크에 예약파티션을 걸어서 Marvell Controller의 EFI 부팅 파티션을 구성해서 간간히 재 부팅하면서 디스크 상태를 체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서비스 도중에 실시간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음으로 윈도우 Server 2012 R2를 네이티브로 설치하는경우 Marvell에..
이 내용이 HW 편으로 분류되는것이 맞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현재 인프라 구성?! 의 단계이므로 HW편에 담아 봅니다. 뭐 여차 저차해서 위와 같은 구성은 완료 했습니다.처음엔 Xpenology의 구성을 위와같이 하지 않고 LXD를 이용해서 전부 따로 구성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열심히 우분투를 셋팅하고 운영하려 하고 있던 와중에 Xpenology의 성능이 어느정도 되는가 궁금해서 일단은 올리고 셋팅을 하던 중에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는 성능이 전혀 밀리지 않는다? 입니다. 평균적인 파일전송속도는 위처럼 초당 75메가 이상으로 나오고 잘 나올땐 100메가 이상으로도 나와주기 때문에 성능에 전혀 지장이 없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굳이 LXD를 이용해 시간을 들여가며 여러 설정을 불편히 할 필요..
- Total
- Today
- Yesterday
- 현대아파트
- 바람돌이 소닉
- 미성아파트
- 통키
- 옛날만화
- 소년기사 라무
- 세일러문
- 라무
- 음원조작사례
- 그것이알고싶다
- comexe
- 몬타나존스
- iptime
- DDNS
- noip
- 무료DDNS
- 남자셋 여자셋
- 들장미 소녀 린
- 공유기
- 무료
- 음원조작
- 멜론
- #스토리링크 #블루투스 #무선이어폰 #S-HOLIC #에스홀릭
- 지니
- 미도아파트
- 은마아파트
- DynDN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